트위터클론코딩 2

210829 트위터 클론코딩 중 메모

노마드코더의 트위터 클론코딩 강좌를 모두 수강하고 내가 개인적으로 조금 더 꾸며보려고 하는 중. 트윗을 작성하면 이름인 userObj.displayName과 nweetObj.createdAt을 출력하도록 하였다. createdAt은 Date.now()로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저런 숫자가 나왔다. Date.now()는 1970년 1월 1일부터 지금까지 지난 밀리초를 반환하기 때문이다. 이를 날짜 포맷으로 바꾸기 위해 Moment 라이브러리를 설치하였다. moment(nweetObj.createdAt).format('YYYY/MM/D h:mm a') 내가 원하는 포맷으로 날짜가 출력된다. 트윗이 여러개일 때 랜덤하게 부여되는 doc.id에 따라 정렬되기 때문에, 시간 순서대로 정렬되도록 firebase에서 ..

개발 2021.08.29

210828 트위터 클론코딩 중 메모

useEffect() 함수 리액트 훅으로, 컴포넌트가 렌더링 될 때마다 특정 행동을 실행하는 함수. useEffect( 함수, [배열] ) 배열은 특정한 값이나 혹은 빈 배열 []이다. effect가 실행되는 것을 마운트 될 때 한 번만 하고 싶을 때 빈 배열을 사용한다. map() 자바스크립트의 map() 메소드는 배열 내 모든 요소에 대하여 주어진 함수를 호출한 결과를 모아, 새로운 배열로 반환한다. props나 리액트 훅 등이 이제 이해가 되기 시작한다 !! 처음엔 너무 난해하게 느껴졌는데! firebase 쿼리로 creatorId가 현재 로그인한 유저와 같은 데이터만 받아오는 작업을 하였다.

개발 2021.08.29